[ 3.SQL 활용 ] DML_Select
-- Result Set : SELECT구문으로 데이터를 조회한 결과물, 반환된 행의 집합을 의미한다, desc employee; select *from employee; -- 특정 컬럼들 검색하기 select emp_id, emp_name, salary from employee; -- job테이블의 모든 정보 조회하기 select *from job; --job 테이블의 job_name 조회하기 select job_name from job; -- department 테이블의 모든 정보 조회하기 select *from department; -- employee 테이블의 직원명, 이메일, 전화번호, 고용일 조회 select*from employee; select emp_name, email, phone, h..
[3. SQL 활용] tb_type
1. NUMBER(precision, scale) -- precision : 소수점을 포함한 전체 자리수 -- scale : 소수점 이하 자리수 지정 특징 ] -- 정밀도 개념 : scale보다 소수점 이하 자리수가 큰건 괜찮지만, 적으면 에러가 발생 -- 입력할 때 precision과 scale을 모두 생략하면(아무것도 안 적으면) 데이터 값만큼 공간이 할당 -- scale없이 precision만 지정하면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되어 정수형만 저장 number_test number ,number_test1 number(7) ,number_test2 number(7,1) ,number_test3 number(7,3) ,number_test4 number(5,-2) ,number_test5 number(4,5..
[Java_프로그래밍 언어 활용] 연산자(operator) 예제
예제1) 주민번호를 입력 받고 삼항 연산자를 이용하여 미성년자인지 성인인지 또 남자인지 여자인지 구분하여 출력하세요 ( 2019년 기준 1999년생 부터 법적 성년) 예제2) 국어(정수), 영어(정수), 수학(정수), 총점(정수), 평균(실수) 변수 선언하고, 각 점수를 키보드로 입력 받고, 합계(국어+영어+수학)와 평균을 계산하고, 세 과목의 점수와 평균(합계/3.0)을 가지고 합격 여부 처리함. [ 합격의 조건 ] 세 과목의 점수가 각각 40점 이상이면서 평균이 60점 이상이면 합격, 아니면 불합격. 예제3) 국어(정수), 영어(정수), 수학(정수) 변수 선언하고, 각 점수를 키보드로 입력 받고, 합계(국어+영어+수학)와 평균(합계/3.0)을 계산. 세 과목의 평균에 따라 성적 등급을 부여, [ 등급..